google-site-verification=QZZsiB6zEvNJcSX7AM4w3iORGiI0TRJkF07EvS7CGho 거울 속 자아 – ‘나’를 인식한 인간의 문화사(3부)-거울과 정신분석
본문 바로가기
  • 다양한 지식, 정보 물어다 드립니다!!
흥미로운 이야기

거울 속 자아 – ‘나’를 인식한 인간의 문화사(3부)-거울과 정신분석

by 뭔일이고 2025. 5. 30.
반응형

거울과 정신분석 – 라캉의 ‘거울단계’란 무엇인가?

거울을 통해 ‘나’를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?

자크 라캉(Jacques Lacan)은 인간의 자아가 스스로를 외부에서 처음 인식하는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.
그 핵심 개념이 바로 **‘거울단계(mirror stage)’**입니다.

“나는 거울 속의 나를 보며, 비로소 내가 된다고 믿는다.
그러나 그 순간, 나는 ‘타자의 시선’ 속에 갇힌다.”


👶 라캉의 ‘거울단계’ 이론이란?

  • 생후 약 6~18개월 사이, 유아는 처음으로 거울 속 자신의 전체 모습을 인식
  • 그전까지는 몸을 분절된 감각으로만 인지하던 아기가,
    거울 속 ‘완성된 자아 이미지’를 보고 흥분과 동일시를 경험
  • 그러나 이 이미지는 실제 자신이 아니라 이상화된 타자적 이미지

📜 이 단계는 자기 동일성의 착각을 형성하는 시작점이며,
자아는 언제나 ‘외부 이미지’와의 동일시를 통해 형성됩니다.


🎭 거울단계와 인간 욕망

  • 거울 속 자아는 실제 나보다 더 안정되고 완전한 자아의 허상
  • 인간은 평생 그 ‘거울 속 나’처럼 되고자 하는 욕망을 추구
  • 이 과정에서 자아는 분열되고, 결핍을 중심으로 구조화

🧠 “나는 내가 아니며, 내가 되는 것은 언제나 타자를 통해서만 가능하다.”


반응형

🔄 거울과 타자의 시선

  • 거울단계는 단지 시각적 체험이 아니라 사회화의 출발
  • ‘나’는 항상 다른 이의 시선을 통해 구성된 존재
  • 타인의 인정과 욕망이 나의 정체성을 규정

📌 이로 인해 인간은 **언제나 ‘자기 자신이 되지 못하는 자’**로 살아간다는 역설에 놓입니다.


🧵 거울단계는 오늘날 어떻게 작동하는가?

영역거울단계의 현대적 변형
SNS 프로필 사진, 셀카 → 자기 이미지에 대한 이상화
광고·브랜드 ‘이런 사람이 되고 싶다’는 이미지 소비
자아정체성 타인의 시선과 피드백 속에서 나를 규정
 

우리는 거울을 떠났지만,
여전히 ‘보이는 나’로부터 벗어나지 못합니다.


맺음말: 거울은 ‘나’를 만들고, ‘나’로부터 나를 이탈시킨다

라캉의 거울단계는
**자아란 언제나 ‘외부를 통해 내부가 되는 과정’**이라는 점을 일깨워줍니다.
거울을 본다는 것은 단순한 시각적 행위가 아니라,
내가 되고자 하는 ‘무언가’와의 지속적인 동일시이자 긴장입니다.

다음 편에서는 **“셀피 시대의 자아 – SNS와 디지털 나르시시즘”**을 통해
거울의 시대를 넘어, 이미지가 주도하는 자아의 사회적 구조를 탐구합니다.


참고문헌 및 자료

  • Jacques Lacan, 《Écrits》
  • 이병욱, 《라캉의 정신분석》
  • 슬라보예 지젝, 《자아의 파열》
  • 정여울, 《거울과 자아의 철학》
  • The Guardian: Mirror stage in modern digital culture

거울 속 자아 – ‘나’를 인식한 인간의 문화사(4부)-셀피 시대의 자아

 

거울 속 자아 – ‘나’를 인식한 인간의 문화사(4부)-셀피 시대의 자아

셀피 시대의 자아 – SNS와 디지털 나르시시즘거울은 이제 스마트폰 속에 있다스마트폰과 SNS는 이제 거울의 자리를 완전히 대체했습니다.우리는 물리적 거울보다 더 자주 화면 속 나, 카메라에

dove-report.tistory.com

 

반응형